지난 20일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참패해 과반 의석을 잃게 된 자민당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 대한 사퇴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22일 요미우리, 니혼게이자이, 산케이신문 등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전날(21일) 기자회견에서 “극히 엄중한 국민의 판단을 받았다. 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인다”며 사과했다. 그러나 “책임”이라는 단어를 10번이나 쓰면서 미국 관세, 고물가, 자연재해 등 국난 극복을 위해 총리직에서 물러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당내에서는 이에 대한 비판과 퇴진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아소 다로 당 최고 고문과 모테기 도시미쓰 전 자민당 간사장은 전날 도쿄에서 만나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으면 당에 대한 비판이 더욱 커질 뿐”이라는 인식을 공유했다. 아소 고문은 2009년 중의원 선거 패배 직후 총재직에서 사퇴한 바 있다.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상은 지난해 10월 중의원 선거를 포함해 “2번의 선거에서 참패했다”며 “당의 수장으로서 책임의 무거움을 받아들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교토에서 4선 의원이 된 니시다 쇼지 참의원은 이시바 총리가 자리를 지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총재 선거 실시를 요구했다. 자민당의 고치현 지부 연합회도 당 본부에 총리의 조기 퇴진을 요구하기로 했다. 야마구치현 지부 연합회의 간부들도 총리의 퇴진을 요구했다.
모리야마 히로시 자민당 간사장이 유임된 것에 대해서도 비판이 나왔다. 고노 다로 선대위원장 대리는 “선거 책임자인 간사장이 사표를 제출하지 않는 것은 이상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당 관계자들도 “농담하는 거냐”, “권력을 놓지 못하는 ‘관저병'(官邸病)에 걸렸다”는 등 이시바 총리를 비판했다. 특히 이시바 총리가 지난 2007년 참의원 선거 패배 이후 아베 신조 당시 총리의 퇴진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이중잣대라는 비판도 나왔다. 당시 아베 총리는 총리직을 지키려고 했으나 결국 퇴진했다.
이시바 총리가 계속 사퇴해도, 국회의원과 도도부현 연맹 대표의 과반수 요구로 총재 선거를 앞당길 수 있는 ‘리콜 규정’에 따라 결국 총리 교체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요미우리는 정권 비판이 진흙탕 내분으로 비칠 수 있고,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이시바 오로시(끌어내리기)’ 움직임이 “아직 큰 파도로 번지지 않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