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현지시간) 구글이 차세대 LLM(거대언어모델)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를 공개했다. 구글은 공개 현장에서 생성형 AI의 원조 오픈 AI의 챗GPT보다 성능이 우수하다고 주장했다.
제미나이 공개는 한 차례 연기되며 당초 내년 초 공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생성형 AI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자 구글이 서둘러 공개한 것으로 풀이된다.
구글은 지난달 제미나이 공개를 앞두고 비영어권에서 언어 오류를 발견, AI 발표를 내년 1월로 미뤘었다.
그러나 최근 오픈 AI 샘 올트먼 해고 사태 이후 오픈 AI 투자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영향력이 커지자 MS의 경쟁사인 구글이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생성형 AI를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이날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제미나이 성능을 공개했다.
제미나이는 챗GPT처럼 텍스트와 이미지·음성을 인식하고, 생성해내는 멀티모달(Multi Modal) AI 모델이다. 이날 구글이 공개한 영상에서 제미나이는 사람이 보여주는 그림을 음성으로 설명하고, 어려운 문제를 추론해 해결했다.
‘알파고’를 개발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제미나이는 MMLU(대규모 다중작업 언어 이해)에서 90%의 점수를 얻었다”며 “인간 전문가 점수인 89.8%를 넘은 첫 AI 모델”이라고 밝혔다.
MMLU는 다양한 전문 지식들을 전문가 수준으로 알고 있는지를 테스트하는 방식이다.오픈AI의 최신 LLM인 챗GPT-4는 MMLU 테스트에서 86.4%의 정답률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미나이가 오픈 AI의 최신 버전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이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제미나이 울트라 모델은 전분야는 아니지만 몇 가지 분야에서 챗GPT-4를 능가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