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인 고율 관세 정책이 소비자물가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관세 부담이 상당 부분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분석했다.
4일(이하 현지시각)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아디티야 바베 BofA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작성한 투자자 노트에서 “이 문제에 대해 논쟁의 여지는 없다. 관세는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밝혔다.
바베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발표한 ‘해방의 날’ 관세 이후 일부 교역국들과 협상이 있었지만 중국과 캐나다 등 주요 국가에 대한 관세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바베에 따르면 트럼프발 관세는 미국의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에 최소 30bp에서 최대 50bp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됐다.
그는 “현재까지 총 관세 비용의 50~70%를 결국 소비자가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바베는 “향후 관세율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통해 무역적자를 해소하고 기업의 생산기지를 다시 미국으로 되돌릴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트럼프는 관세가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를 늘리고 해외 상품에 대한 소비 의존도를 낮출 것이라고 주장해왔지만 상당수 경제학자들은 관세 부담이 기업과 소비자 가격에 반영될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경제 전문가들은 관세가 단기적으로 제조업을 지원할 수 있지만,수입 원가 상승과 공급망 부담이 결국 소비자 가격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관세 인상 폭이 더 커질 경우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려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