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세계 규모의 노력이 실패하면 향후 10년간 59개국 국가신용등급이 악화돼 채무 원리금 상환 비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UEA)와 케임브리지대가 공동 연구에서 밝혔다. 이 논문은 지난 7일자 ‘경영과학’ 저널에 수록되었다.
UEA와 케임브리지대는 스탠다드앤푸어스(S&P) 글로벌의 기존 신용등급에 인공지능(AI) 모델을 학습시키고 여기에 기후경제 모델과 S&P 자체 자연재해 리스크 평가를 조합해 다양한 기후 시나리오에 따라 새로운 신용등급을 만들었다.
이에 따르면 배출량이 계속 증가하는 시나리오에는 59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기인 2020년 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48개국 신용등급이 강등된 것에 비하면 온실가스 배출 증가가 더 큰 타격이라는 의미다. 특히 중국, 인도, 미국, 캐나다는 기후 조정 등급 시스템에서 신용 점수가 두 단계 하락해 더 많은 비용 상승이 예상됐다.
한편 온난화 대책의 국제적 틀인 파리협정이 지켜져 지구의 기온 상승이 산업화 전에 비해 2도 미만으로 억제될 경우, 국가신용등급은 단기적으로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장기적인 영향도 제한됐다.
이번 연구를 이끈 패트리샤 클루삭 연구원은 “이 시나리오들에서 승자는 없다”며 거의 모든 국가에 영향이 갈 것임을 강조했다.
신용등급이 낮은 개발도상국이 기후변화에 따른 물리적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는 한편 신용등급이 가장 높은 나라도 등급 하락폭이 클 것이라는 이유만으로도 심각한 강등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