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배너 코리안 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건강
  • 컬럼
  • 알림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건강
  • 컬럼
  • 알림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배너 코리안 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건강
  • 컬럼
  • 알림
Home 최신뉴스

인구수 3년째 곤두박질…女, 男 추월 ‘역대 최대’

주민등록 인구 0.4%↓ 5144만명…출생 26만명 밑으로 1인 세대 1000만 임박, 평균 세대원 '최저'…女 고령층 20% 돌파

서배너코리안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by 서배너코리안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1월 15, 2023
in 최신뉴스, 코로나 / 건강 / 보건
Reading Time: 1 mins read
A A
인구수 3년째 곤두박질…女, 男 추월 ‘역대 최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가 3년 연속 감소했다. 감소 폭도 가팔라졌다. 서울과 부산 등 주요 대도시 인구도 일제히 줄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가운데, 그 격차는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1인 세대는 ‘1000만 세대’ 돌파가 임박했고, 고령화 현상 역시 더 뚜렷해졌다. 여자 인구 중 고령층 비중이 20%대를 돌파했다.

1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2년 12월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43만9038명으로 2021년(5163만8809명)에 비해 19만9771명이(0.39%) 줄었다.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5183만명을 기록한 이후 3년 연속 줄었다. 감소 폭은 2만1000명→19만명→20만명으로 확대됐다.

2022년 인구의 자연적 요인(출생-사망) 감소는 11만80003명, 장기 거주불명자 직권 말소는 10만1938명이다.

출생자는 25만4628명으로 전년보다 3.23% 줄었다. 출생자는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사망자 수는 3년 연속 증가해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으로 인한 인구 감소는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女>男’ 인구 격차 ‘역대 최대’…1인 가구 ‘1000만 세대’ 돌파 임박 

2022년 인구를 성별로 보면, 남자 인구는 2563만6951명(49.8%)로 4년 연속 감소했다. 여자는 2580만2087명(50.2%)로 2년 연속 감소했다.

남·여간 인구격차는 16만5136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여자 인구는 2015년 처음으로 남자 인구를 추월한 바 있다.

출생자는 남아가 13만167명으로 여아(12만4461명)에 비해 5706명 많았다. 출생 성비는 104.6으로 전년(105.1) 대비 하락했다.

주민등록 인구 감소세는 지속되고 있는 반면, 1인 세대의 비중이 커지면서 세대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세대수 증가는 해마다 지속되고 있으며, 2022년 세대수는 전년 대비 23만2919세대(0.99%↑) 증가한 2370만5814세대를 기록했다.

평균 세대원수는 사상 최저치인 2.17명으로 감소했다.

1인 세대는 972만4256세대(41.0%)를 기록해 1000만 세대 돌파를 앞두고 있다. 1인세대 비중은 2021년 사상 첫 40%를 넘어선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1·2인 세대는 전체의 65.2%로 전년 비중(62.4%)보다 1%p 증가했다. 3·4인세대는 2021년 35.7%에서 2022년 34.7%로 줄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 18%…여성 고령층 20% 돌파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고령(65세 이상)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 말 전체 인구의 18.0%를 차지했다.

여자의 고령인구 비중은 20.1%로 처음으로 20%를 돌파했으며 남자(15.9%)보다 4.2%p 높았다.

연령대별로 10대 미만과 20대, 30대, 40대 인구는 감소했고 나머지 연령대는 증가했다.

전체 인구 중 50대가 16.7%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40대 15.7%, 60대 14.4%, 30대 12.9%, 20대 12.48%, 70대 이상 11.82% 순이었다. 10대와 10대 미만은 각각 9.1%, 6.9%로 한 자릿수에 그친다.

성별을 기준으로 보면 50대 이하에서는 남자 인구가 더 많고, 60대 이상에서는 여자 인구가 더 많았다.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서울·부산 등 인구 감소…충남·울산·경기 고령화 가속 

지자체별로 인구 동향을 보면, 전체 17개 시·도 중 인구가 증가한 곳은 경기(2만3982명↑)·인천(1만8939명↑)·세종(1만1696명↑)·충남(3780명↑)·제주(1400명↑) 등 5곳 뿐이다.

서울은 8만1086명 줄어든 943만명, 부산은 3만2568명 감소한 332만명, 대구는 2만1721명 줄어든 236만명이다. 서울의 인구 감소는 주거 문제 등의 사회적 요인이 컸다.

시·군·구는 인천 서구(3만3633명↑), 경기 화성시(2만3799명↑), 경기 평택시(1만4241명↑), 경기 파주시(1만2070명↑), 충남 아산시(9959명↑) 등 52곳이 증가했으며 나머지 174곳은 감소했다.

전남(25.17%), 경북 (23.78%), 전북(23.20%), 강원(22.77%), 부산(21.47%), 충남(20.58%) 등 6곳은 초고령사회였다.

특히 전년도와 비교하면 충남(고령→초고령), 울산(고령화→고령), 경기(고령화→고령) 등 3곳은 각각 인구 연령이 더 높아졌다.

226개 시·군·구 중 시 지역 75곳 중 초고령사회는 42.7%에 달하는 32곳이었다. 고령사회는 30곳, 고령화사회는 13곳이다.

군 지역 82곳 중 대부분인 76곳(92.7%)이 초고령사회였으며 고령사회는 6곳이다. 구 지역 69곳 중 고령사회는 58%인 40곳, 초고령사회는 23곳, 고령화사회는 6곳이다.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정부는 국가적인 당면과제인 인구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며 “관계부처와 협력해 자치단체가 각자 특성에 맞는 정주여건 개선, 일자리 창출 등 지역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서배너코리안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서배너코리안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Related Posts

삼성전자, 美 텍사스 공장서 2026년 2나노 양산 추진
미국 / 국제

삼성전자, 美 텍사스 공장서 2026년 2나노 양산 추진

6월 23, 2025
트럼프 추방정책 하루 3000명 목표에 공화당 내부 균열…”너무 지나치다” 경고
미국 / 국제

美 대법원, 트럼프 행정부의 ‘제3국 신속추방’ 재개 허용

6월 23, 2025
美 텍사스, 중국인 부동산 구입 금지법 시행…”외국인 혐오” 논란
미국 / 국제

美 텍사스, 중국인 부동산 구입 금지법 시행…”외국인 혐오” 논란

6월 23, 2025
Next Post
파트 쪼개기·순차 공개, 구독자 이탈 막기 나선 OTT…과연 결과는 [N초점]

파트 쪼개기·순차 공개, 구독자 이탈 막기 나선 OTT…과연 결과는 [N초점]

“소줏값 또 오른다”…작년 ‘주정·병뚜껑’ 이어 올해 ‘병값’ 인상

"소줏값 또 오른다"…작년 '주정·병뚜껑' 이어 올해 '병값' 인상

’13일의 금요일’에 13억달러 돈벼락…美메가밀리언 사상 두번째 액수

'13일의 금요일'에 13억달러 돈벼락…美메가밀리언 사상 두번째 액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건강
  • 컬럼
  • 알림
광고문의: savannaktimes@gmail.com (470)843-6822

© 2025 서배너 코리안 타임즈 - The Savannah Korean Times.

Welcome Back!

Login to your account below

Forgotten Password? Sign Up

Create New Account!

Fill the forms bellow to register

All fields are required. Log In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

Add New Playlist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건강
  • 컬럼
  • 알림

© 2025 서배너 코리안 타임즈 - The Savannah Korean Times.

Are you sure want to unlock this post?
Unlock left : 0
Are you sure want to cancel sub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