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인도로 진출한 국내 기업이 현지 정부 규제와 우호적이지 않은 기업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5일 펴낸 ‘해외경제포커스’에서 인도 경제의 현황과 성장 잠재력·리스크를 평가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은 조사국 아태경제팀과 미국유럽경제팀, 국제종합팀은 인도의 성장 잠재력을 측정하며 “인구 증가, 글로벌 생산기지로서의 역할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환경 오염과 인프라 부족, 규제 등이 리스크 요인”이라며 “특히 정부 규제와 비(非)친화적인 기업 환경은 우리 기업이 진출하는 데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유엔에 따르면 인도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어나 올해 중국을 추월해 세계 제1 인구대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특히 젊은 인구구조를 보유한 터라 2032년까지 생산연령인구 비중이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제조업 육성 의지도 존재한다. 인도는 2014년 모디 정부 출범 이후 국내총생산(GDP) 4분의 1을 제조업으로 채운다는 목표 아래 법인세 인하, 인프라 구축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여기에 미·중 갈등 등에 따라 최근 글로벌 공급망이 중국 이외의 국가로 다변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대만 제조회사인 폭스콘이 인도 내 공장 인력을 4배 확대하겠다고 밝히는 등 새로운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중장기적으로 제조업 경쟁력 개선과 함께 거대 소비시장의 강점이 부각되고 미국과의 공조가 강화될 경우 대체 생산기지 역할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봤다.
이어 “전력·물류 인프라 향상, 규제비용 감소 등 사업 환경 개선이 점차 가시화하면서 경쟁국이 갖지 못한 거대 소비시장의 잠재력이 부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인도와 미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미 정부의 탈중국 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추진 등으로 미국 기업 중심의 인도 생산기지 이전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 제공) |
걸림돌은 환경오염, 인프라 부족, 규제 등 리스크 요인이다. 이들 리스크 요인은 인구 요인 등과 반대로 중장기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배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으로 인한 사망률도 높은 수준”이라며 “인허가 등 높은 규제비용 등 경쟁국 대비 열악한 사업환경도 글로벌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을 제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자국 제조업을 육성하기 위한 보호무역주의 등도 우리나라를 비롯한 해외 기업의 인도 진출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보고서는 “인도 경제는 견조한 내수에 힘입어 올 하반기부터 회복세를 보이면서 중장기적으론 고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며 “이에 대비해 적극적인 인도 진출을 모색하고 기존에 진출한 서방기업, 정부규제, 비친화적 환경에 대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인도의 생산기지 역할 확대로 성장이 기대되는 중간재, 자본재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며 “기계·설비, 소재·부품 등 판로를 개척하고 중국 등에 편중된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