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배너 코리안 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Advertisement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교육
  • 건강
  • 컬럼
  • 알림
  • 회사소개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교육
  • 건강
  • 컬럼
  • 알림
  • 회사소개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배너 코리안 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교육
  • 건강
  • 컬럼
  • 알림
  • 회사소개
Home 경제

전기차 중고차 가격 폭락…테슬라도 2년 만에 42% ‘반토막’

허츠 4조 손실·블루스마트 파산, 배터리 불안에 가솔린차보다 2배 빠른 감가

서배너코리안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by 서배너코리안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10월 26, 2025
in 경제, 미국 / 국제, 산업 / IT / 과학, 최신뉴스
Reading Time: 1 mins read
A A
전기차 중고차 가격 폭락…테슬라도 2년 만에 42% ‘반토막’

전기차 중고 가격이 세계 곳곳에서 급락하면서 친환경 차량 전환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배터리 수명을 알 수 없어 중고 전기차 시장이 혼란에 빠진 가운데, 차량 공유와 렌터카 업계는 물론 개인 소유주들까지 큰 손실을 입고 있다.

레스트 오브 월드는 최근 전기차 감가상각 속도가 가솔린차보다 2배 이상 빠르며, 특히 초기 구매자들이 산 구형 모델 가치 하락이 더욱 심하다고 보도했다.

인도·미국 사례가 보여준 중고차 가격 위기

중고 전기차를 팔 때 가격 급락 문제는 인도 전기차 전문 차량공유 업체 블루스마트(BluSmart)가 무너지면서 분명히 드러났다. 뉴델리에 본사를 둔 블루스마트는 지난 4월 재무 부정 혐의로 운영을 멈췄다.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 조사에서 회사 공동 창업자인 아놀 싱 자기와 푸니트 싱 자기 형제가 전기차 구매용 대출금 26억 2000만 루피(약 429억 원)를 고급 부동산 같은 개인 용도로 빼돌린 사실이 밝혀졌다.

블루스마트가 가진 수천 대 전기차는 원래 대당 1만 2000달러(약 1700만 원) 이상 값어치가 있었으나, 회사가 파산한 뒤 중고시장에 쏟아지면서 대당 3000달러(약 430만 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75%나 가치가 내려간 것이다.

미국 시장도 다르지 않다. 2023년에 산 테슬라 모델Y는 2년 만에 가치가 42% 내려간 반면, 같은 해 나온 포드 F-150 트럭은 20%만 떨어졌다. 시애틀에 있는 중고 전기차 평가 업체 리커런트(Recurrent)의 앤드루 가버슨 성장연구 책임자는 “가솔린 자동차는 100년 동안 쌓인 주행거리와 정비 기록, 엔진 부품이 얼마나 갈지를 바탕으로 값을 매긴다”며 “전기차는 움직이는 부품이 적고, 차 가격의 상당 부분이 배터리 하나에 몰려 있다”고 말했다.

영국의 한 연구를 보면 3년 된 전기차는 값의 50% 이상을 잃은 반면, 가솔린차는 39%만 내려갔다. 다른 연구에서는 미국 내 전기차가 3~5년 사이 값의 60%까지 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차량 절반 이하 수준이다.

차량 보유 업체들, 생존 위기로 내몰려

차량 공유와 렌터카 업계가 이 문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미국 플로리다주에 본사를 둔 렌터카 업체 허츠(Hertz)는 2021년 테슬라 차량 10만 대를 샀으나, 2024년 29억 달러(약 4조1700억 원) 손실을 기록했다. 허츠가 지난 2월 공개한 실적 자료를 보면 이 손실은 주로 전기차 값 급락 때문이었다.

인공지능(AI) 기반 차량 조사·쇼핑 플랫폼 카바이AI(Carvai.ai)의 잭 칼슨 최고경영자는 “차량 보유 업체들은 총 소유 비용을 소수점까지 계산하고 수천 대를 되팔아야 해서 남은 값 위험을 가장 크게 느낀다”며 “개인 구매자들은 배터리 상태와 충전 문제를 주로 걱정하지만, 차량 보유 업체들은 되팔 때 가격을 걱정한다”고 말했다.

허츠는 지난해 말 한 달에 차량 한 대당 평균 530달러(약 76만 원) 이상 손해를 봤다. 높은 처음 비용과 가파른 보험료, 긴 수리와 복구 시간이 이유였다고 전기차 전문 매체 인사이드이브이스(InsideEVs)는 전했다. 허츠는 결국 가진 전기차 3만 대를 팔았다. 처음에 4만 달러(약 5700만 원) 이상 주고 산 테슬라 차량들이 2만 달러(약 2800만 원)도 안 되는 값에 팔렸다. 지난 8일 기준 허츠 웹사이트에는 모델Y가 2만 7000달러(약 3800만 원)에 올라와 있었다. 신차 모델Y는 얼마 전까지 미국에서 4만 5000달러(약 6400만 원)에 팔렸으나, 테슬라가 이달 초 4만 달러 안쪽 저렴한 버전을 내놨다.

인도 아르타 벤처펀드(Artha Venture Fund)의 아니루드 다마니 전무이사는 “개인 소비자가 중고 전기차를 팔 때 가격은 단지 불편한 문제지만, 차량 보유 업체는 생존 문제”라며 “차량은 그들한테 생활용품이 아니라 돈 버는 자산이다. 앞으로 값을 예측할 수 없으면 돈 버는 차량 보유 업체도 차를 바꿔야 할 때가 오면 유지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마니 전무이사는 인도에서 가족이 쓰는 차는 1년에 조금만 달리지만, 인도 차량 보유 업체 차량은 주행거리가 3~4배에 이르러 중고차를 팔 때 값이 더 빨리 무너진다고 덧붙였다. 우버(Uber)는 블루스마트가 가진 중고 전기차 5000대를 사려다 포기했고, 현지 경쟁사인 에바라 캡스(Evara Cabs)도 배터리와 보증 걱정 때문에 손대지 않았다. 블루스마트가 뉴델리와 벵갈루루에서 급하게 헐값에 판 사례는 전기차가 얼마나 빨리 쓸모없어질 수 있는지를 정확히 보여줬다.

브랜드와 지역마다 격차 뚜렷

재미있는 점은 테슬라가 여전히 가장 나은 경우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폴란드에 있는 차량 기록 정보 제공업체 오토DNA의 마리우스 사울라 최고경영자는 “테슬라는 여러 해 경험과 브랜드를 쌓아서 중고차를 팔 때 값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며 “중국 신생 업체인 BYD, 니오(Nio), 샤오펑(XPeng)은 중고를 팔 때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인다”고 말했다.

사울라 최고경영자는 “프리미엄 브랜드는 되팔 때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 모두 시장 브랜드보다 꾸준히 높은 값을 지킨다”며 “중국 자동차 만드는 회사 체리(Chery) 아래 브랜드인 오모다(Omoda) 같은 완전히 새로운 중국 브랜드가 5년 뒤 중고시장에서 어떤 값에 팔릴지 아무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감가상각 위기는 지역마다도 다르게 나타난다. 차량 거래 업체 카에지(CarEdge)의 저스틴 피셔 자동차 전문가는 “중국, 노르웨이, 코스타리카처럼 소비자들이 전기차로 바꾸는 데 열려 있는 시장에서는 높은 수요가 중고차 가격을 받쳐준다”고 말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수천 대 차량을 평가해온 칼 브라우어는 “북미의 넓은 고속도로와 먼 이동 거리는 중고 전기차에 힘든 환경”이라며 “유럽은 도시가 모여 있고 출퇴근 거리가 짧아 미국이나 캐나다보다 중고 전기차 시장이 더 안정되어 있다”고 말했다. 거리 말고도 날씨 민감성과 충전 시간이 문제로 작용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브라우어는 “전기차는 온도가 적당한 도심에서 짧은 거리를 다니기에 알맞지만, 먼 거리를 가거나 날씨가 매우 덥거나 추울 때는 기존 차만큼 효과적이지 않다”며 “배터리가 크고 주행거리가 긴 전기차도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에너지를 채우는 데 더 오래 걸린다”고 설명했다.

캐나다 여러 브랜드 전기차 딜러 이브이넷(EVNet)의 조니 T. 베켓 영업 부사장은 “소비자한테 좋은 정책과 넓게 깔린 공공 빠른 충전망이 소비자 믿음을 높인다”며 “더 큰 수요와 안정된 공급이 북미보다 되팔 때 값을 안정시킨다”고 말했다.

배터리 데이터와 새 장사 방식으로 회복 기대

그러나 희망적인 신호도 나타나고 있다. 배터리 기술이 예상보다 튼튼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리커런트 연구를 보면 배터리는 1년에 1~2%만 성능이 떨어지며, 2016년 이후 만든 차량 가운데 1%만 배터리를 바꿔야 했다. 이는 그 전 전기차 13%와 비교된다. 요즘 바꾼 경우 대부분도 보증으로 처리한다.

가버슨 책임자는 “데이터가 사람들한테 중고 전기차 배터리를 믿게 만들고 있다”며 “믿음이 커지면 되팔 때 값도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렇게 숫자로 나타낼 수 있는 지표를 바탕으로 인증 중고 전기차 프로그램과 배터리 상태 보고서가 늘어나면서 정보를 보고 결정하기 쉬워졌다. 대서양 캐나다 전기차협회를 함께 만든 베켓 부사장은 “예전에는 새 전기차 모델이 계속 나와 1~2년만 지나도 구형이 되는 바람에 중고차 값이 뚝 떨어졌다”며 “지금은 차 만드는 회사들이 자주 새 모델을 내기보다는 한 모델을 오래 팔고 있어서 중고차 값이 덜 떨어진다”고 말했다.

차량 보유 업체들에게는 배터리를 따로 빌려 쓰는 방식이 생존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차를 살 때 배터리까지 사는 게 아니라, 차는 사고 배터리는 한 달에 얼마씩 내고 빌려 쓰는 것이다. 다마니 전무이사는 “이렇게 하면 차량 보유 업체들이 배터리가 언제 고장 날지 걱정할 필요가 없고, 한 달에 내야 할 돈도 정해져 있어 계산하기 쉽다”며 “배터리 때문에 차 가격이 떨어질 걱정을 안 해도 된다”고 말했다.

맥킨지가 지난 4월 낸 보고서를 보면 유럽인 5명 가운데 1명, 미국 소비자 10명 가운데 1명만 전기차 구매를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우버, 볼트(Bolt), 리프트(Lyft) 같은 차량공유 업체들은 완전히 전기차로 바꾸겠다고 약속하며 세계 곳곳에서 큰 투자를 하고 있다. 차를 사려고 빌린 돈을 다 갚기도 전에 차 가격이 뚝 떨어질 수 있는데도 말이다.

베켓 부사장은 “2026년은 공급과 수요 모두에서 업계와 시장이 다시 맞추는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배너코리안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서배너코리안타임즈 | Savannah Korean Times

Related Posts

‘꿈의 사천피’ 처음 올라선 코스피, 2%대 오르며 4020선도 돌파
경제

‘꿈의 사천피’ 처음 올라선 코스피, 2%대 오르며 4020선도 돌파

10월 26, 2025
美 셧다운 장기화에 ‘데이터 블랙아웃’…세계 경제정책도 혼란
미국 / 국제

美 셧다운 장기화 속 트럼프 ‘재정권한’ 강화에 의회 권한 잠식 우려

10월 26, 2025
기아 EV6, 전기차 배터리 내구성 1위…“테슬라보다 감가 적어”
국제

기아 EV6, 전기차 배터리 내구성 1위…“테슬라보다 감가 적어”

10월 26, 2025
Next Post
‘꿈의 사천피’ 처음 올라선 코스피, 2%대 오르며 4020선도 돌파

'꿈의 사천피' 처음 올라선 코스피, 2%대 오르며 4020선도 돌파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교육
  • 건강
  • 컬럼
  • 알림
  • 회사소개
savannahktimes@gmail.com (470)843-6822

© 2025 서배너 코리안 타임즈 - The Savannah Korean Times.

Welcome Back!

Login to your account below

Forgotten Password? Sign Up

Create New Account!

Fill the forms bellow to register

All fields are required. Log In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

Add New Playlist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최신뉴스
  • 로컬
  • 미국 / 국제
  • 한국뉴스
  • 경제
  • 정치
  • 사회
  • 연예
  • 산업 / IT / 과학
  • 스포츠
  • 교육
  • 건강
  • 컬럼
  • 알림
  • 회사소개

© 2025 서배너 코리안 타임즈 - The Savannah Korean Times.

Are you sure want to unlock this post?
Unlock left : 0
Are you sure want to cancel sub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