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안을 확정 짓지 못한 국민의힘이 극우 프레임 늪에 빠졌다. 최저치를 잇달아 경신하는 당 지지율에 특검 수사망까지 조여오자 강성 지지층에 기댄 각자도생식 구명에 몰두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비상계엄 이후 탄핵과 대선 패배를 겪고도 여전히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절연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를 둘러싼 당 내홍이 확산 일로다.
계엄·탄핵·대선 패배에도 ‘우클릭, 우클릭’
국민의힘 극우 논란은 윤상현 의원이 불붙였다. 지난 14일 ‘무엇을 할 것인가? 자유공화 리셋코리아를 위하여’ 긴급토론회에 전 씨가 축사를 맡아 부정선거론과 ‘윤 어게인’ 등 주장을 설파했다.
토론회에 지도부가 참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당 안팎에선 국민의힘이 극우 정당으로 퇴행하고 있다는 자조와 비판이 쏟아졌다.
전 씨 입당은 극우 논란에 기름을 끼얹었다. 전 씨는 “10만 추종자가 입당했다”며 이른바 ’10만 양병설’을 앞세워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사람을 대표로 만들겠다고 주장했다.
당권 주자로 나선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장동혁 의원이 ‘당내 다양성’을 명분으로 전 씨에 영합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극우 이미지는 한층 더 굳어졌다.
지지율 추락에 수사 압박 더해져…불안감에 극우 손 내밀기
민심과 동떨어진 행보에 국민의힘 지지율은 당명 변경 이후 최저 수준(전국지표조사·NBS 17%, 한국갤럽 19%,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으로 떨어졌다. 대구·경북(TK)을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연령대에서 민주당에 압도당하는 상황이다.
설상가상으로 국민의힘을 향한 특검 수사망도 좁혀오고 있다. 3대 특검은 윤상현·임종득·권성동·이철규·김선교 의원 등 5명의 의원실을 압수수색했다. 국민의힘은 이에 맞서 ‘특검 대응 TF’를 꾸렸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움직임은 없는 상황이다.
당 지지율이 최저치를 경신하고 수사 압박까지 거세지자 좌불안석이 된 의원들이 강성 당심에 기대며 기득권 지키기에 급급한 모습이다.
‘안철수·윤희숙 혁신위’가 계엄·탄핵과의 단절, 인적 쇄신을 골자로 한 혁신안을 내놨지만 당내 주류의 반발에 부딪혀 번번이 좌초된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겉으로는 혁신을 말하지만 실제로는 대구, 경북 등 텃밭 지역구에서 공천만 받으면 국회의원 자리를 지킬 수 있다는 계산이 앞설 것”이라며 “아직 총선까지 3년 가까이 남은 상황에서 당 지지율이 어떻든 위기의식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당대회 결과에 따라 당의 극우화 흐름이 가팔라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극우 성향을 띠는 후보가 당 대표가 되면 자유통일당과 합당도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라며 “극우 정당이 제1야당이 되면 보수의 미래가 달라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