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21일 취임 후 첫 일본 방문을 앞두고 한반도 비핵화 전략과 동북아 평화 구상을 제시했다.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선 “(기존) 합의를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놨다. 오는 23일 한일정상회담에 앞서 중요 의제에 관련한 명확한 견해를 제시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를 통해 북한 핵 문제와 관련 “정책적 방향은 한반도의 비핵화”라고 못 박았다.
그는 “1단계는 핵·미사일 동결, 2단계는 축소, 3단계는 완전한 비핵화”라며 “한국 정부는 미국과 긴밀히 공조하면서 남북 대화를 통해 동결에서 폐기까지 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은 대한민국에도 중요하지만 일본,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북 대결 정책보다는 평화적으로 서로 공존하고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공동 번영의 길을 찾아내야 한다”며 “우리가 한발 앞서서 문을 열고 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내고, 적대감을 완화해 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북극항로 개척’이라는 새로운 아이템을 중심으로 미국, 러시아, 북한, 한국, 일본이 협력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위안부 합의와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서는 기존 합의를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합의를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가능한 한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려 노력하며 적대적이지 않도록 하면서 해결해서 나가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앞서 박근혜 정부와 윤석열 정부에서 이뤄진 위안부 합의·강제 징용 배상 해법에 대해 “한국 국민으로서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전 정권의 합의”라면서도 “국가로서의 약속이므로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책의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고려하면서 동시에 국민과 피해자, 유족들의 입장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짊어지고 있다”며 양국이 장기적으로 “보다 인간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일본은) 매우 중요한 존재”라며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하고 협력 가능한 분야를 넓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회담할 예정이다. 그는 이번 정상 회담의 의제와 관련해 “경제·안보·인적 교류 등에서 어떤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을지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취임 후 여덟 번째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한일·한미 정상회담 준비 상황을 점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