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일본·중국의 외교수장들이 4년여 만에 한자리에 모여 역내 주요현안과 각국의 상호 관심사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박진 외교부 장관과 가미카와 요코(上川陽子) 일본 외무상,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26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소재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열린 제10회 ‘한일중 외교장관회의’에 임했다.
우리 외교부에 따르면 각국 장관들은 이날 한일중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차기 의장국을 맡은 3국 정상회의 개최 준비 등 상호 협력 발전방향과 더불어 지역·국제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2008년부터 ‘일본→한국→중국’ 순으로 의장국을 맡아온 한일중 정상회의도 2019년 12월 중국 청두(成都) 회의를 끝으로 더 이상 열리지 못한 상태다. 이에 우리 정부는 늦어도 내년 초엔 이 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각국과의 조율 작업을 진행해왔다.
이외에도 이날 한일중 외교장관회의에선 최근 러시아와 북한 간 무기거래 등 군사협력 심화,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등으로 재차 한반도 일대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상황과 관련해서도 각국의 평가와 협력방안 모색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박 장관은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는 3국 협력 방안이 어떤 게 있는지 논의할 예정”이라며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포함해 필요한 논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북한이 5년 만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를 재개한 작년 이후 북한의 도발에 관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공동 대응 논의가 있을 때마다 러시아와 ‘미국 책임론’ ‘제재 무용론’을 주장하며 제동을 걸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