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이 미국으로 수출한 태양광 셀 제품이 신장 위구르 지역 강제노동 금지법(UFLPA) 위반 의혹으로 인해 미 세관에서 차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한화가 추진 중인 조지아 태양광 산업단지의 연방 보조금 수령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8월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충청북도 진천 공장에서 생산되어 조지아주의 태양광 공장으로 보내지던 한화 제품 일부가 지난 6월부터 미국 세관에서 통관이 보류되었다. 세관 당국은 제품에 중국 신장 지역의 원자재가 사용됐을 가능성을 문제 삼고 있다.
이에 대해 한화는 관련 법규를 위반한 사실이 없으며, 세관 조사에 적극 협조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공급망을 재편 중이며, 원자재를 중국 외 지역으로 대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 지난해 7월에도 한화 제품이 강제노동 연루 의혹을 받은 바 있으나, 당시 한화는 이를 전면 부인했다. 이번 차단 조치로 인해 조지아주에 약 3조 원(미화 약 20억 달러)을 투자해 건설 중인 대형 태양광 생산단지의 진행에 차질이 우려된다. 이 공장은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주도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연간 약 7,000억 원(5천만 달러)의 보조금을 받을 예정이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트럼프 행정부의 재출범 가능성을 염두에 둔 반(反)그린 에너지 정책 기조와 관련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진영은 그린에너지 확대를 경계하며 행정조치를 통해 관련 보조금 및 지원을 억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2022년 6월부터 발효된 UFLPA를 근거로 신장 지역과 연관된 모든 강제노동 제품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태양광 업계는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공급망의 투명성 확보와 중국 원자재 탈피가 더욱 절실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