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배터리 산업이 트럼프 정부의 정책 회귀에도 이미 되돌릴 수 없는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80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벨트 건설로 이런 현실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9일(현지시각) 미국 에너지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는 이 같은 현상을 심층 분석 보도했다.
미국 800GWh 규모 배터리 벨트 계속 확장…워싱턴 정책 변경 영향 제한적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미국 배터리 산업의 확대는 정치권의 방향 전환과 관계없이 지속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직후 파리기후협약 재탈퇴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제 지원 축소, 연방 청정에너지 보조금 삭감 등 정책 회귀를 공식화했다.
그럼에도 최근 5년간 미국 내 신규 또는 증설 중인 배터리 공장의 생산능력 합산이 800GWh를 넘어섰다. 중서부와 남동부에 거대한 배터리 벨트가 형성되고 있다. 울티움(Ultium)의 오하이오, 테네시 공장부터 포드·에스케이(SK)의 켄터키 쌍둥이 캠퍼스, 도요타의 노스캐롤라이나 복합시설까지 그 규모는 10년 전 상상을 뛰어넘는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들 프로젝트는 수개월 단위가 아닌 수년 단위로 추진되며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계약, 지자체 세제 유인, 주(州) 단위 고용 연계 지원책이 완공까지 이들을 묶어두고 있다. 공사가 시작되고 장비 발주가 이뤄지면 워싱턴의 정책 발표만으로 이런 추진력을 돌려세울 수 없다는 뜻이다.
공장 건설·장기 공급계약이 만든 ‘돌이킬 수 없는’ 구조
클린테크니카는 정책 변경의 실제 영향이 단기 지연이나 일부 프로젝트 중단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배터리 공장의 건설 과정과 장기 부품·소재 공급 계약, 이미 발주된 장비 투자가 정책 변화를 상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지 매체는 “개별 공장이 30~40GWh 규모이고, 공사 개시부터 수년이 소요되며 수십억 달러의 지자체 유치 인센티브가 이미 집행 중”이라며 “한 번 시작된 투자는 행정부의 방향 전환이나 연설로 중단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울티움, 블루오벌SK, 파나소닉, 도요타,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등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한 대형 합작 공장 대부분은 기존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다. 다만 중견·중소 배터리 공급업체는 연방 지원 축소, 금융시장 변동, 수익성 악화 등으로 사업 철수나 통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시장 수익성과 기술혁신이 정책을 이기는 구조…2030년 100~150GWh 지연 예상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이 현상의 근본 배경에는 기술혁신과 시장 수익성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있다. 태양광 모듈 가격은 2010년 이후 90% 이상 내렸고, 풍력발전 효율도 계속 올라가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가 특수 제품이 아닌 일반 산업재가 됐다.
미국 내 정책 후퇴로 국내 경쟁은 일부 둔해질 수 있으나, 유럽, 중국, 인도 등에서는 배터리 제조능력 확대가 계속되고 있다. 현지 매체는 “글로벌 공급망 통합, 투자자 수익률, 기술 진보 등 복합 요인이 작용해 미국이 한발 물러나도 세계 청정에너지 전환 움직임은 계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트럼프 정부의 정책 회귀로 2030년까지 미국 배터리 배치가 100~150GWh 정도 밀려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경쟁력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세계 흐름을 바꾸지는 못한다는 뜻이다. 유럽, 중국, 인도가 합쳐 미국 둔화보다 훨씬 빠르게 제조능력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州) 정부는 조지아에서 미시간까지 청정에너지 정책의 최전선이 되고 있다. 세제 지원과 인력 양성 프로그램으로 제조업체를 계속 유치하고 있다. 기업들의 탄소중립 약속(이미 공급계약과 투자자 보고서에 명시됨)도 자금 흐름을 이어가게 할 것이라고 현지 매체는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