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전기차 전환의 또 다른 장애물로 개인의 정치 성향이 자리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인들이 비싼 가격과 충전의 번거로움 이외에도 정치적 혹은 이념적 이유로 전기차를 반대하는 경우도 상당하다고 WSJ은 설명했다.
최근 WSJ이 모닝컨설팅에 의뢰한 2200명 미국 성인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약 4명이 전기차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전기차에 반대하는 응답자 중 38%는 정치적 견해가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전기차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가진 응답자 중 63%는 그 이유로 중국의 전기차 공급망 지배를 꼽았다.
정당 성향에 대해서는 자신을 보수적이라고 밝힌 응답자의 31%가 전기차에 대해 호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답한 반면 진보적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66%는 전기차에 대해 호의적이라고 밝혔다.
보수층은 전기차에 대한 공공 보조금에 반대하며 소비자를 특정 제품으로 유도하는 규제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진보층은 환경적인 이유로 전기차를 운전할 가능성이 높고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공공 보조금을 선호한다.
WSJ이 인용한 공화당 지지자 로버트 올슨은 전기차가 기후에 도움이 되는 측면이 과장됐다면서 자신은 바이든 행정부의 친전기차 정책에 비판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기차라는 주제는 정당 노선을 따라 깔끔하게 정리되는 것은 아니라고 WSJ은 지적했다. 일례로 테슬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전기차지만,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보수적 성향으로 인해 일부 민주당원들은 테슬라를 꺼린다고 WSJ은 전했다.
기아자동차의 스티븐 센터 미국 운영책임자는 WSJ에 최근 전기차가 정치적으로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아차가 일반 휘발유 엔진 모델부터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완전 전기차까지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며 전기차를 강요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