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진 갑질 의혹’ 끝에 자진 사퇴했다. 인사청문 제도가 모든 국무위원 내정자에게 확대된 2005년 이후 첫 현역 의원 낙마라는 점에서 대통령실의 후속 인선에 대한 부담감은 더욱 커졌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강 후보자는 전날(23일) 페이스북을 통해 “그동안 저로 인해 마음 아프셨을 국민에게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 여기까지였던 것 같다”고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지난달 23일 이재명 대통령이 강 후보자를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지 30일 만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같은 날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소식을 전하며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는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조속히 찾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치권 안팎에선 신속한 인선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인사검증 기준이 한층 엄격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강 후보자의 낙마로 인해 후임 여가부 장관 후보자는 도덕성 논란이 없어야 한다는 점이 대통령실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동시에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이 예정된 여가부의 혁신을 이끌 추진력과 리더십도 갖춰야 한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다.
강 후보자의 낙마는 오광수 전 민정수석,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강준욱 국민통합비서관에 이어 네 번째인 만큼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선도 불가피해 보인다. 인선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싹 튼 상황에서 다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장관 후보자가 지명될 경우 국정 동력은 현저히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강 대변인은 “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후보, 임명자를 찾기 위해 철저한 노력을 해야 하지 않나. 살펴볼 부분은 있을 걸로 본다”며 “국민 여론과 함께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인사 검증 절차에 조속함과 함께 엄정함을 좀 더 갖추겠다”고 했다.
또 하나의 변수는 ‘여성 장관 비율 30%’ 목표의 차질이다. 이진숙, 강선우 후보자가 연이어 낙마하면서, 당초 목표한 내각 여성 비중도 맞추기 어려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대선 유세 중 “30%를 넘기는 것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역대 여성가족부 장관들은 현역 국회의원부터 여성학계 교수까지 출신 배경은 다양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초대 여가부 장관을 지낸 백희영 전 장관은 교수, 2대 여가부 장관으로 임명된 조윤선 전 장관은 정치인이었다. 박근혜 정부에선 3명의 여가부 장관 모두 정치인이었고 문재인 정부에선 진선미 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교수 출신이었다. 윤석열 정부에서 여가부 장관을 지낸 김현숙 전 장관도 교수 출신이다.
대통령실은 인사청문회 통과 가능성과 국정철학의 적합성, 여성계의 신뢰 등을 두루 고려해 후보자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후임 여가부 장관 후보자군으로는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권인숙 전 민주당 의원이 거론된다. 이외에도 정춘숙 전 보건복지위원장과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