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 보도에 따르면 한국 한화솔루션의 자회사 Qcells(큐셀) 이 미국 조지아주에서 운영 중인 공장에서 근무시간과 임금을 임시로 줄이기로 결정했다. 이는 미 관세국경보호청(CBP)이 중국산 강제노동 관련 의혹으로 일부 수입 부품을 항만에서 억류하면서 생산라인 가동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정은 조지아주 달턴(Dalton) 과 카터스빌(Cartersville) 공장 근로자 3,000명 중 약 1,000명에게 적용되며, 인력 파견업체 소속 근로자 300명은 해고될 예정이다.
미 국토안보부는 지난 8월 ‘위구르 강제노동방지법(Uyghur Forced Labor Prevention Act)’ 집행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Qcells가 수입한 일부 태양광 셀이 6월부터 억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Qcells 측은 “중국 신장(Xinjiang) 지역산 원자재나 부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며 “모든 공급망은 제3자 감사를 통해 검증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사 대변인 마르타 스톱커(Marta Stoepker)는 “공급망이 점차 정상화되고 있으며, 몇 주 내로 생산이 완전히 회복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로 근로자들은 평균 연봉 5만3천 달러 수준의 임금이 일시적으로 감축되지만, 건강보험 등 복리후생은 유지된다.
한편 Qcells는 23억 달러 규모의 신규 공장을 카터스빌에 건설 중이며, 태양광 모듈의 핵심 부품인 잉곳·웨이퍼·셀을 미국 내에서 전량 생산하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회사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올해 초 태양광 구매세제 혜택을 축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태양광 공급망 구축 약속은 변함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