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3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리는 제80차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고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정상 및 유럽연합(EU) 지도자 등과 회담한다.
캐롤라인 백악관 대변인은 22일 언론 브리핑에서 “내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은 7건의 글로벌 전쟁 및 분쟁 종식을 포함해 8개월 만에 이룬 역사적 성과와 전 세계에 걸쳐 재탄생한 미국의 힘을 강조하는 주요 연설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세계주의 기구들이 국제 질서를 어떻게 심각하게 훼손해 왔는지 언급하고, 세계를 위한 자신의 직설적이면서도 건설적인 비전을 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밤 워싱턴DC에서 뉴욕으로 출발하며, 영부인 멜라니아도 뉴욕에서 합류할 예정이다.
레빗 대변인은 “대통령은 연설 후에는 유엔 사무총장과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EU 지도자들과 양자 회담도 가질 예정”이라면서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파키스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요르단과의 다자 회담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나 교착 상태에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협상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외환 보유고 부족 등 경제 위기를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의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과는 차관 제공이나 통화 스와프와 같은 미국의 재정적 지원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 등 EU 지도자와는 대(對)러시아 제재 유지 및 강화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 이슬람권 및 중동 국가 정상들과의 다자회담에서는 팔레스타인 문제를 비롯한 중동 안정과 테러 대응, 에너지 협력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레빗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영국, 호주, 캐나다, 포르투갈 등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승인한 것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을 묻자 “대통령이 나중에 직접 언급할 것”이라면서도 “그는 이 결정에 반대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가자지구 최우선 목표인 인질 석방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 분쟁을 종식하고 전쟁을 끝내는 데도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서 “솔직히 말해 트럼프는 이 결정이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라고 믿는다”라고 부연했다.
레빗은 “내일 유엔에서 대통령이 이에 대해 발언하는 것을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는 이후 이재명 대통령 등 100여 명의 참가국 정상들이 참석하는 리셉션에 참석한 뒤 워싱턴DC 백악관에 복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에는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에는 미국과 유럽 간 골프 대항전인 라이더컵 관람을 위해 롱아일랜드로 이동할 예정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23일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민주주의 위기 극복과 한반도 문제 등 글로벌 현안에 대해 한국 정부의 비전과 정책을 제시할 예정이다.
24일에는 유엔 안전보장의사회 의장국으로서 ‘인공지능과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한 공개토의를 주재한다. 이번 유엔총회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은 계획하지 않고 있지만 약식 회담과 같은 짧은 접촉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대통령실은 이번 방미 기간 후속 무역협상도 진행하지 않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