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통신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정부가 26일(현지시간) 자국 카리브해 연안을 따라 전함과 드론을 배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이 최근 구축함 3척과 해병 4천명을 베네수엘라 인근 해역으로 파견한 데 대한 대응이다.
블라디미르 파드리노 베네수엘라 국방장관은 SNS 영상을 통해 “드론 대규모 배치와 함께 북쪽 영해에 대형 함정을 투입해 순찰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미국, 해상 압박 확대
미국은 이번 움직임을 마약 밀매 차단이라는 명분으로 설명하고 있다. AFP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파견된 3척 외에 유도미사일 순양함 USS 이리(Erie)와 핵잠수함 USS 뉴포트뉴스(Newport News)를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두 척은 다음 주 카리브해에 도착할 예정이다.
■ 침공 가능성은 낮아
전문가들은 대규모 군사 배치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직접 침공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한다. 국제위기그룹(ICG)의 필 건슨 애널리스트는 “이는 마두로 정권 내부 불안을 조성하고 협상 압박을 강화하려는 의도”라고 평가했다.
■ 마두로 정권과 미국의 갈등 배경
마두로 대통령은 2024년 7월 논란 속 3선에 성공했으나, 선거 부정과 야권 탄압 의혹으로 국제적 비판을 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2017~2021년)부터 마두로 정권을 집중 견제했으나, 석유 금수 조치 등 ‘최대 압박 정책’에도 정권 붕괴에는 실패했다.
미국은 마두로가 ‘태양의 카르텔(Cartel de los Soles)’이라는 마약 밀매 조직의 수괴라며 테러단체로 지정하고, 체포 현상금을 5천만 달러로 상향했다.
■ 베네수엘라의 대응
마두로 정권은 수천 명의 민병대를 모집하며 ‘미국 침공 대비’ 분위기 조성에 나섰다. 또 카라카스 정부는 유엔에 긴급 청원서를 제출, “미국의 카리브해 군사 배치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베네수엘라와 미국 간 갈등을 넘어 카리브해 지역 안보 불안과 국제 무역 항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