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NATION-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시행되는 가운데, 혼란을 틈탄 관세 관련 사기 수법이 미국 전역에서 증가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일반 소비자들이 물가 상승에 대비해 관세를 일부 부담해야 한다는 오해를 악용해, 사기범들이 ‘가짜 관세 납부’ 또는 ‘구제금 수령’을 유도하는 문자·이메일을 발송하고 있다는 것이다.
📦 가짜 배송요금·정부 이메일 사칭
가장 흔한 유형은 이미 받은 소포에 관세가 부과됐다는 내용의 가짜 메시지다. ‘미국세관(US Customs)’이나 ‘관세청(U.S. Tariffs)’ 등의 이름을 도용한 가짜 웹사이트나 이메일 주소가 이용된다.
스티브 와이즈먼 벤틀리대 교수는 “심지어 실제 택배 배송 직후, 배달기사로 가장한 사람이 집을 방문해 ‘관세가 미납됐다’며 요금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경우 사기범은 해킹을 통해 배송 정보를 미리 파악한 것으로 추정된다.
💸 ‘관세 구제금’ 사칭 피싱도 등장
일부 웹사이트는 팬데믹 시기 지급됐던 경기부양금처럼 ‘관세 구제금’을 지급한다며 개인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하지만 2025년 5월 현재, 미국 정부는 어떤 형태의 ‘관세 환급금’도 운영하고 있지 않다.
사이버 보안업체 Bfore.AI의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관세 관련 도메인 약 300개가 피싱 목적으로 등록됐다. 이 중에는 ‘U.S. Customs and Tariffs’와 같은 실제 정부 기관을 연상케 하는 사이트도 포함됐다.
🔐 사기 예방 수칙 (BBB 권고)
-모르는 사람에게 절대 돈을 보내지 말 것
-의심스러운 이메일·문자 속 링크나 첨부파일 클릭 금지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 제공 금지
-결제·거래 시 보안 여부 반드시 확인
🚨 사기 피해 신고는
사기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BBB(미국 소비자보호국)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신고할 수 있다.
👉 BBB Scam Tracker 신고 페이지
전문가들은 “관세는 수입업체가 부담하고, 소비자는 그 영향을 간접적으로 가격 인상으로만 느끼게 되는 구조”라며, 개인이 ‘관세를 직접 납부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