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8일 러시아가 접경지 쿠르스크 영토를 회복하는 데 북한군이 참전해 중대한 공헌을 했다면서 러시아 파병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다.
북한 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지난 27일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에 보낸 서면 입장문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북한은 입장문에서 “공화국 국가수반의 명령에 따라 쿠르스크 지역 해방 작전에 참전한 우리 무력 구분대들은 높은 전투정신과 군사적기질을 남김없이 과시했으며 대중적 영웅주의와 무비의 용감성, 희생성을 발휘하여 우크라이나 신나치스 세력을 섬멸하고 러시아 연방의 영토를 해방하는데 중대한 공헌을 했다”고 파병 사실을 밝혔다.
이어 이번 작전이 “불의에 대한 정의의 승리인 동시에 조로(북러) 두 나라 사이의 굳건한 전투적 우의와 두 나라 인민들사이의 동맹관계, 형제관계의 가장 높은 전략적 높이를 과시한 역사의 새로운 장”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파병 배경과 관련해 김정은 당 총비서가 당시 조성된 전황이 북러간 체결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의 제4조 발동에 해당된다는 분석과 판단에 근거해 참전을 결정하고 러시아 측에 통보했으며 합의에 따라 참전 명령이 하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파병 시기와 규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은 이번 군사활동이 유엔헌장을 비롯한 국제법과 북러조약의 제반 조항과 정신에 전적으로 부합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참전 군인들이 “국가수반의 명령에 따라 희생을 동반한 실제적 전투행동으로써 조로 두 나라 사이의 굳건한 동맹관계를 증명하였으며 전설적인 무훈담들을 기록했다”고 도 했는데 파병군 중 사망자가 발생한 것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어 “정부는 러시아연방과 같은 강력한 국가와 동맹관계에 있는 것을 영광으로 간주하며 우리 무력 구분대들의 참전이 조로 두 나라사이의 전투적 유대를 더한층 강화하고 러시아의 특수군사작전수행에 기여한데 대하여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투포화를 헤치며 피로써 검증된 두 나라 사이의 불패의 전투적 우의는 금후 조로친선협조 관계의 모든 방면에서의 확대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앞으로도 변함없이 러시아군대와 인민의 성업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조로국가간 조약정신에 기초한 임의의 행동에도 의연 충실할 것임을 확언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러시아도 26일(현지시간) 쿠르스크 영토를 회복하는 데 북한군의 지원을 받았다며 북한의 파병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