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과 중국학을 연구하는 교수들이 중국 정부의 압박을 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싱크탱크인 ‘영국-중국 투명성'(UKCT)은 4일(현지시간) 영국 대학 내 중국 공산당 관련 활동에 대한 조사의 일환으로 영국 대학의 중국학 연구원 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중국 신장 혹은 티베트 지역의 소수민족과 관련된 정책, 인권, 정치 부패 등 중국 정부가 민감하게 여기는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만 수행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중국 비자가 거부된 적이 있거나 거부된 사람을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도 절반인 25명이 그렇다고 답했고, 민감한 사안에 대한 연구 이력 등이 중국 비자 발급 거부 사유로 작용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29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수업 중 중국 유학생들이 민감한 주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는 문제가 있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중국 유학생을 가르친다고 답한 응답자 44명 중 21명에 달했으며, 그중 4명은 주제를 변경했다고 답했다.
중국계 연구원들과 유학생들은 중국 당국으로부터 위협을 받기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업무와 관련해 중국 공산당이나 관련 단체로부터 경고를 받은 중국 국적을 가졌거나 중국 내 가족을 둔 교직원이나 학생을 아느냐는 질문에 20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교내에서 교직원과 학생이 중국 공산당이나 관련 단체의 감시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29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중국 유학생들은 중국 정부로부터 동료 학생들을 감시하라는 요청을 받았으며, 귀국 시에는 중국 정부 관계자들과 면담을 갖기도 한다.
UKCT는 일부 대학들은 중국 유학생들의 등록금에 재정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중국의 개입 문제에 대응하는 데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영국의 대학 감독 기구인 학생처(OFS)는 캠퍼스 내 표현의 자유를 위협하는 장학금이나 외국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포함해 모든 협약을 수정하거나 종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영국대학협회도 교직원이나 학생들의 자유를 위협하는 모든 행위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며, 이를 막기 위해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영국 주재 중국대사관은 해당 보고서가 근거 없고 터무니 없다며 중국은 영국 및 기타 지역에서의 표현의 자유를 존중한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