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됐었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대장)은 지난 3일 밤 선포된 비상계엄을 윤석열 대통령의 담화를 보고 알았다고 5일 밝혔다.
박 총장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비상계엄을 언제 인지했냐는 질문에 “계엄 선포 이후 갑작스럽게 지휘통제실로 이동하게 됐고, 대통령께서 담화하시는 것을 보고 알았다”라고 말했다.
박 총장은 3일 밤 10시 30분쯤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 후에 본인에게 “계엄사령관은 육군참모총장이라고 해서 그때 (내가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된 것을) 정확하게 알았다”라고 언급했다.
박 총장은 김 장관이 합동참모의장이 아닌 육군총장인 자신에게 계엄사령관을 맡긴 것은 “전방 상황 등 군사관리상 매우 엄중한 부분이 생길 수 있으니까 아마 그런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계엄군이 국회에 진입하는 게 “목표라는 것을 몰랐다”라며, 본인이 국회의원 등의 체포 지시를 내리지 않았다고 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으로의 계엄군 움직임 뿐만 아니라 계엄군의 무장 여부도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김선호 국방부 차관(장관 직무대리)은 “특전사령관으로부터 (국회 투입 계엄군에) 실탄 지급은 없었다고 들었다”라고 말했다. 계엄사령부가 발령한 포고령 1호는 국방부가 작성하지 않았다고도 했다.
박 총장은 자신 명의로 발령된 포고령 1호와 관련해 “제가 (당시) 그것을 분별할 수 있는 상황의 능력은 좀 안 됐다”라며 합동참모본부 계엄과장 등과의 분석 과정이 있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또 계엄사 포고령 1호 문안을 전달받은 뒤 계엄사 상황실에 있던 다른 구성원 4명 정도와 함께 내용을 살펴봤지만 “그분들도 저 만큼이나 군인으로서는 최고의 전문가이지만 계엄은 조금 약해서 ‘어떡하냐, 어떡하냐’ 하면서 시간이 좀 지나갔다”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어 포고령 선포가 임박한 상황이 됐는데 포고령 발령 시간이 밤 10시로 적혀있어, 이를 밤 11시로 수정하도록 한 후 자신이 서명을 해 발령했다고 부연했다. 박 총장은 “(포고령 문안을) 확인하는 과정이 좀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김 차관은 “국회 군부대 투입은 국방부 장관이 지시했다”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김 장관이 본인에게 “(비상계엄 선포가) 적법한 절차에 의해서 진행이 됐다”라고 말했다고도 했다. 계엄군의 철수 명령은 김 장관이 내렸다고 박 총장은 전했다.
박 총장은 “군인은 명령이 있으면 임무를 수행하는 게 기본이다. 그래서 저는 명령에 의해서 사실 정상적으로 (계엄사령관 역할을 수행)하려고 노력했었다”라고 밝혔다.
그는 본인이 계엄사령관으로서의 “역할을 일부는 하고 있었다”라며 합참 청사 지하 4층에 마련된 계엄사의 상황실 구성 등 업무에 집중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또 계엄사가 아직 구성이 안 돼 “정상적인 활동을 못했다”라며, 본인이 “명령을 하달할 기회가 없었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에게 총칼을 겨눌 마음은 추호도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김 차관은 ‘국회는 범죄자 집단’이라며 비상계엄을 선언한 윤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저는 동의하지 않는다”라며 이번 비상계엄 선포에도 동의하지 않는다는 뜻을 밝혔다.
김 차관은 “국민들께 일련의 사태가 일어난 것에 대해서 다시 한번 송구하다는 말씀드린다”라며 “저도 참담하다. 매우 슬프고 괴롭다”라고 했다.
그는 “국방차관의 직책이 있으면서 일련의 행동이 일어나는 것에 대해서 그 행동을 미연에 확인하지 못했고 또 진행되는 과정에서 그것을 막지 못했다. 거기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추후에 거기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박 총장은 국방위 정회 뒤 만난 기자들의 사임 의사 질문에 답변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