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권 자민당의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총재가 총리 취임 이후에도 과거처럼 한국 등 주변국에 강경 발언을 지속한다면 일본에 외교적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7일 경고했다.
다카이치 총재는 과거부터 강경 보수 성향을 드러내며 역사 인식과 영토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등을 놓고 여러 차례 논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1995년 일본의 식민 지배와 침략을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 당시에는 “멋대로 대표해서 사과하면 곤란하다”며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를 비난했다. 2005년에는 한 잡지에 무라야마 담화의 문제점을 지목하며 “분별없는 견해를 방치하면 자손을 ‘범죄 국가의 국민’으로 묶어두게 된다”는 내용의 기고문을 실었다.
또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2001년 8월 취임 후 처음으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자 “당당히 종전일인 15일에 참배해야 했다”고 옹호했다.
다카이치 총재는 2006년 독도 문제에 관해서는 “정부가 독도에 시설물을 설치하고 현지 조사를 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총재 선거 토론에서도 이른바 ‘다케시마의 날’에 장관급 각료를 파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닛케이는 다카이치 총재의 이런 과거 발언들을 언급하면서 이 같은 강경 발언들이 지속되면 일본 외교에 ‘급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주요 경제지가 특정 정치인의 이념적 성향이 국가 외교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공개적으로 지적한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중국의 군사력 확장과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 강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예측 불가능성 등으로 인해 일본에 외교적인 여유가 부족한 상황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닛케이는 동북아에서 유일하게 가치관을 공유할 수 있는 한국과 협력할 수밖에 없다며 다카이치 총재가 2009년 경제산업성 부대신일 때 방한해 이명박 당시 대통령과 한일 자유무역협정(FTA)을 논의했던 점을 언급했다.
이 매체는 다카이치 총재가 현실적인 외교 노선을 채택해야 한다고 제언하면서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을 사례로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전에 일본에 대해 강경한 자세를 보였으나 현재는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외무성 간부는 닛케이에 한미일 3국 협력을 “아킬레스건”에 비유하면서 “이 관계가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다카이치 총재의 이념적 성향으로 한일관계가 악화하면 한미일 안보 공조 전체가 약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