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25일 광주시민·전남도민을 만나 지역 현안에 관해 토론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취임 이후 울산에 이은 두 번째 지역 일정이다.
약 130분간 이어진 만남에서는 광주 민간·군 공항 무안 이전 문제를 비롯해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지원, 청년 문제 지원, 지역 균형발전 등 여러 주제에 대한 소통이 이뤄졌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을 갖고 “제한 없이 최대한 많이, 오고 싶은 분들 다 와서 할 말씀 하게 하자 했다”며 “광주·전남의 우리 국민들이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자유롭게 말씀 나눠보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사회는 전 세계가 인정하는 모범적 선진국가인데 최근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적대시하고, 대결적이고, 심하게는 상대를 제거하려 해서 민주적 토론보다는 적대적인 문화가 심해졌다는 생각”이라며 “서로 의지하고 협력하며 존재를 인정하고 포용하며 힘을 합쳐 난국을 타개하는 공동체 구성원으로 공존의 삶을 살아야 하는데, 그 새로운 방향을 같이 모색하자”고 말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광주·전남 지역 현안들이 대거 문제로 제기됐는데, 그중에서도 광주 민간·군 공항 무안 이전 문제에 대한 토론이 주요 주제로 다뤄졌다.
광주시는 민간·군 공항으로 함께 사용 중인 광주공항을 전남 지역으로 옮기고 공항 부지를 개발하는 일을 추진 중인데, 이전 후보 지역인 무안 등에서는 민간 공항만 받겠다고 해 입장차가 있는 상황이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를 비롯해 공항 이전 문제와 관련한 이해당사자들의 입장을 경청한 이 대통령은 “정부에서 주관하도록 하겠다”며 대통령실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주민,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6자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제가 SPC(특수목적법인) 전문이지 않냐. 대장동”이라고 농담하면서 SPC 구상 시 무안군이 우선권을 갖는 것으로 설계하는 방식의 중재안을 내놓기도 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최근 국무회의를 통과한 ’12·29 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에서 유가족 피해 보상에 부족함이 있다는 지적에 “국토교통부에 다시 한번 피해자들과 대화해 보라고 하고, 그때도 부족하면 이야기를 더 해보겠다”고 밝혔다.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의 김유진 대표가 해당 시행령에 대해 “법적으로 근로자만 치유 휴직이 되게 했고, 공무원은 자기 병가를 써야 하고 자영업자는 생계를 (챙겨야 한다)”고 하자 이 대통령은 “국토부 쪽에서 (피해자 의견을) 충분히 듣고 반영했다고 주장하는데, 다시 대화해 보라고 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광주·전남 일대 지역균형 발전 문제에 대해서 “정책실에서 지방 균형발전 문제는 각별한 주제를 갖고 검토할 테고, 기본적 방향이나 공감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되는지 좀 더 상의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로스쿨 제도의 문제를 지적하며 ‘사법고시 부활’을 요구한 시민의 주장에 대해서는 “법조인 양성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며 “일정 부분 개인적으로 공감하고, 말씀하신 것을 염두에 두고 검토나 한번 해보자”고 밝혔다.
이외에도 전통시장 발전, 청년 일자리 확충, 철도 확충, 지역주택조합 문제 해결, 탄약고 이전 문제 등에 대해 광주시민·전남도민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타운홀 미팅 참석에 앞서 김혜경 여사와 함께 대통령 최초로 국립소록도병원을 방문해 한센인들을 격려했다. 지난 대선 기간 당시 김 여사가 소록도를 찾아 “선거가 끝나면 대통령을 모시고 꼭 다시 오겠다”고 했던 약속을 지킨 것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 내외는 환우분들의 손을 꼭 잡고 위로하며 ‘사회적인 편견이 없어져야 한다’고 했다”며 “이 대통령은 고통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성과 공동체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애쓴 한센인들의 의지를 높게 평가하면서, 국가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약자들을 보살펴온 종교인과 의료인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치하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