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최측근으로 알려진 김현지 제1부속실장 증인 채택 문제가 국정감사를 앞두고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대통령에게 논란의 불씨가 옮겨붙을라 ‘증인 채택 불가’에서 출석으로 슬쩍 무게추를 옮기고 있고, 국민의힘은 국감 불출석을 목적으로 김현지 총무비서관을 제1부속실장으로 인사를 냈다면서 공세 화력을 올리고 있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앞서 국회에서 합의가 이뤄지면 출석하겠다는 원칙적 입장이었던 대통령실과 달리 민주당은 내부적으로 출석 불가 입장이었으나 최근 기류 변화가 감지된다.
김 실장은 지난달 29일 총무비서관에서 1부속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대통령을 가까이서 보좌하는 부속실장은 통상 국회에 출석한 전례가 없어 야당 중심으로 ‘만사현통(모든 것은 김현지를 통한다)을 보호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지난달 24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선 국감 증인 명단에 김 실장이 빠지면서 국민의힘이 반발해 증인 채택 안건이 연기됐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한겨레 인터뷰에서 김 실장의 국감 출석 여부에 대해 “100% 출석한다”고 밝혔다.
김 실장의 최근 보직 이동이 국감 불출석을 위한 꼼수라는 비판엔 “허망한 얘기”라고 했고, 실세 논란엔 “정부 출범 초기엔 아무 시스템이 없으니 김 실장이 행정관 등 인선을 주도했다. 한 달 뒤부터는 강훈식 비서실장 체제로 다 정리됐다”고 선을 그었다.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이날 한 라디오에서 “부속실장이 국감장에 나온 적은 없지만 야당에서 마치 그것 하나가 이번 국감 목표인 것처럼 한다면 당사자가 ‘제가 나가겠다”고 할 것 같다”고 출석에 여지를 뒀다.
같은 당 박주민 의원은 다른 라디오에서 “제가 운영위에 있진 않지만 어제까지는 (김 실장이) 안 나오는 것으로 결정이나 확정된 건 아니라고 들었다”고 했다.
다만 조정식 의원은 라디오에서 “출석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국민의힘이 굳이 김 실장을 나오라는 건 정쟁 청문회, 대통령 흔들기를 하겠다는 말”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국민의힘은 국감 출석 압박을 비롯해 다각도로 김 실장을 향한 공세를 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이 시점에 인사를 낸 건 국감 불출석 의도”라며 “김현지는 감추면 감출수록 의혹이 커진다. 이미 출처가 불분명한 재원으로 상당히 많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게 지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 기간 밝혀졌다”고 했다.
최수진 의원은 김 실장 주요 인적 사항을 요구했으나 대통령실이 개인정보를 이유로 전면 비공개 처리했다고 비판했다. 역대 대통령실은 비서단 인사 발표 시 학력·경력을 공개해 왔다는 이유에서다.
최 의원은 “이재명 정부가 인사 정보를 일부는 공개, 일부는 비공개하는 건 김 실장 보호 조치가 아닌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박수영 의원은 이와 관련 고위공무원 신원을 의무 공개하도록 하는 이른바 ‘김현지 방지법'(공직자윤리법 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손수조 미디어대변인은 이날 라디오에서 “총무비서관 김현지를 국감에 안 나오도록 부속실장 김현지로 순식간에 둔갑시키는 등 여권이 ‘현지야 사랑해’를 외치는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또 “(2021년 10월 26일 당시 이재명 경기지사 배우자 김혜경 씨 수행비서에게) ‘컴퓨터 파일을 싹 다 없애라’는 녹취록의 주인공이 김현지라는 것을 새삼 알게 됐다”며 “이는 증거인멸을 교사한 심각한 사안이라 수사받아야 할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녹취록 관련해 당시 민주당은 “공용 컴퓨터가 아닌 개인 컴퓨터 파일을 말하는 것으로 공문서 무단반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등을 우려해 주의 요청을 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김장겸 의원은 “김 실장의 대학 시절 은사가 김인호 산림청장”이라며 인사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산림청은 “김 청장은 신구대 환경조경학과에서 김 실장을 가르친 사실이 없다. 명백한 허위”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