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현지시간)이 임박하면서 정부가 한미 간 무역협상 타결을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8일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귀국하지 않고 다시 미국 워싱턴DC로 이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지난 24일 워싱턴DC, 25일은 뉴욕 등 미국에서만 두 차례에 걸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만나 협상한 데 이어 러트닉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을 따라 스코틀랜드로 출장을 가자 현지로 날아가 협상을 이어갔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한국인들이 스코틀랜드까지 날아와 저와 제이미슨 그리어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저녁 식사 후에 만났다”라고 밝혔다.
특히 러트닉 장관은 “그들이 협상을 성사시키려고 얼마나 간절히 원하는지 생각해 보라”면서 “하지만 지금은 (트럼프) 대통령이 운전석에 앉아 있다”라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그(트럼프)는 큰 거래를 여러 번 성사시켰고, 모든 카드를 손에 쥐고 있다”면서 “그가 말했듯이 이번 주에 관세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제 막 스코틀랜드에서 돌아왔다”라고 밝혔는데, 그의 동선을 따라 다시 워싱턴DC로 돌아온 김 장관, 여 본부장과 추가로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 장관의 경우 23일 워싱턴DC에 도착했고, 여 본부장은 김 장관보다 하루 앞서 워싱턴DC에 도착한 후 이날까지 일주일째 스코틀랜드까지 다녀오며 미국 측 인사들과 협상하고 있다.
29일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워싱턴DC에 합류하는 만큼 8월 1일 발효를 앞두고 협상이 타결되기 전에는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이 귀국하지 않고 워싱턴DC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구윤철 기재부 장관은 31일 스콧 베선트 장관과 만나 양국의 경제 협력 및 통상 의제를 최종적으로 조율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