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에 대해 구매 금지 조처를 내린 가운데 미 하원에서 이 빈자리를 한국 기업이 채우지 말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하원의 미국과 중국 공산당 간 전략 경쟁에 관한 특별위원회(미·중 전략경쟁특위) 위원장 마이크 갤러거는 성명을 통해 “미국 상무부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외국 메모리 반도체 회사에 대한 미국의 수출 허가가 중국의 경제적 강압을 직접 경험한 한국이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채우는 데(backfilling)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로이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언급하며 이들 모두 중국에서 메모리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이들 기업은 미국이 지난해 10월 대(對)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했을 때 1년간 통제 조치를 유예받았다고 전했다.
또 갤러거 위원장은 “미국은 중국 기업이나 동맹국에 대한 경제적 강압을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중국에 분명히 해야 한다”며 “상무부는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고, 미국 기술이 CXMT나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다른 중국 기업에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4월 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백악관이 한국 정부에 중국 정부가 마이크론의 중국 내 반도체 판매를 금지할 경우, 한국 기업들이 그 빈자리를 메우지 말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양국 최고위급 소식통 4명을 인용해 보도했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세계 D램 시장은 삼성전자(45.1%), SK하이닉스(27.7%), 마이크론(23%)이 장악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은 주요 7개국(G7) 정상들의 대중 견제 메시지에 대한 반발로 미국 최대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에 대해 구매 금지 조처를 내린 바 있다.
마이크론이 중국 시장에서 배제된다면 삼성전자와 SK의 점유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 만큼, 미국이 이에 대해 직접적인 경고를 날린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