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기업 포스코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지원하는 막대한 보조금을 받기 위해 전기차 소재 공급망의 재구축을 주도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는 포스코의 이경섭 2차전지 소재사업팀장과 인터뷰 기사를 통해 급성장하는 포스코가 급성장하는 미국의 전기차 시장을 겨냥하며 배터리 소재의 공급망 재구축을 주도한다고 전했다.
이 팀장은 FT와 인터뷰에서 “중국에서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거나 조달하지 않을 것”이라며 포스코가 국제무기 규제를 준수하는 소재 공급망을 구축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미 시장에 필요한 니켈은 호주에서 조달하고 한국 시설에서 제련 공정을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기업들이 니켈, 흑연 가공 등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망에서 계속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그는 인정했다. FT에 따르면 중국의 전세계 희토류의 90%를 생산하며 청정기술에 사용되는 수 십가지 광물의 공급망을 통제한다.
포스코 역시 지난 5월 중국 저장화요 코발트와 리튬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양극재와 음극재를 한국에서 공동 생산하기 위한 광범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이 팀장은 “중국으로부터 완전히 탈피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비용도 엄청나게 많이 든다”고 말했다.
UBS의 팀 부시 배터리 애널리스트는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항상 중국과 제휴관계를 맺어 왔다”며 “이제 차이점은 합작회사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옮겨 가고 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자국 시장에 내놓는 부품을 생산하는 합작투자에서 중국의 소유권을 어느 정도 허용할지 아직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고 부시 애널리스트는 지적했다.
세계 10대 철강업체인 포스코는 지난 3년 동안 한국 배터리 관련 주식에 투자가 쏠리며 시가총액이 3배 이상 상승했다. 포스코는 배터리 산업을 미래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삼고 있다.
포스코의 2023~2025년 자본지출의 43.6%가 배터리 소재사업에 투자될 예정으로 이는 2015~2018년 철강 투자비중 13.6%보다 높은 것이다.